[암호화폐] 요즘 드는 생각인데요...암호화폐/토큰보다 블럭체인 자체에 더 가치를 둬서 살펴봐야 할 때가 아닌가 합니다.

in #dclick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그냥 맨날 제 생각만 쓰는 시골사람입니다.

갑자기 암호화폐시장이 들쑥날쑥하다보니 뭔가 좀 어리버리한 느낌이 있습니다. 게다가, 시장 외적으로 기업에서 블럭체인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쏟아져 나오다보니 지금 이 현상을 어떻게 생각하고 움직여야 할지 주저주저 하는 것도 있습니다.

두가지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첫번째는 암호화폐와 블럭체인에 관한 것이고

두번째는 스마트 계약에 관한 것입니다.

매일 제가 보는 인터넷 신문에 나오는 내용이기도 하지만, 뭔가 흐름이 바뀌고 있다는 생각이 좀 들더군요. 그래서 한번 써보렵니다.

첫번째, 암호화폐와 블럭체인....

일단, 스팀잇이라는 곳에 블로그를 작성하는 사람들, 아니면 이곳의 글을 읽는 사람들이라면 최소한 암호화폐라는 것과 블럭체인이라는 것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잘 알고 있을 것이라는 간주하에 글을 쓰겠습니다.

암호화폐와 블럭체인은 서로 떼어 놓을 수 없다는 생각은 사실상 토큰 경제와 관련된 것이니 어떻게 암호화폐가 없는 블럭체인이 있을 수 있냐는 기본적인, 어떻게 보면, 편견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암호화폐가 없는 블럭체인이라면, 그것은 진정한 블럭체인이 아니고, 그리고 이것은 진정한 분산화가 아니다라는 공식이 우리들 머리속에 들어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정말 그런 것인가요?

요즘 이런 신문기사들이 있었습니다. 최근 미국에서 대형 로펌들이 변호사들을 구하는데, 변호사들 중에서 '블럭체인'에 대한 지식이 있는 사람들을 구한다...라는 내용입니다. 이 기사를 읽다보면, '암호화폐'를 말하는 것이 아닌 '블럭체인'을 콕 찝어서 이야기 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이 대형 로펌들은 상대하는 고객층이 일반 서민들이 아닌, 그들에 걸맞는 대형 기업들을 상대로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대형 기업들은 암호화폐 투자에 관심이 있는 것일까요? 아니라면, 블럭체인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사업에 용이하게 하려는 것일까요?

정답은 없습니다만, 요즘 흐름을 보아서는 암호화폐 투자가 아닌 '블럭체인' 그 자체에 관한 것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이들이 원하는 것은 퍼블릭 블럭체인이 아닌 자신들만을 위한 블럭체인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흐름상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 시간으로 어제 기사로 나간 [단독] ‘삼성코인’ 드디어? “삼성전자 블록체인 메인넷 개발중”이라는 기사를 보면 더더욱 그런 느낌을 받게 됩니다.

자...

올해와 내년은, 제가 생각하기에, 어떤 쪽을 중심으로 투자를 해야할지 일정한 기로에 놓여 있는 것은 아닌가 라는 의심을 하게 됩니다.

사실상, 지금까지 암호화폐시장에서 날뛰던 것들은 '토큰'이나 '코인'자체에 대한 것이고, 그 토큰이나 코인이 어떻게 사용될지에 대한 광고로만 일색이었던 것들이었습니다. 이러이러한 일정 수의 코인들이 발행이 되어 자신들이 계획하는 방향으로 이용되고 그 숫자가 늘어나면 해당 코인의 가치가 오를 것이다라는 것에 초점을 맞춰왔던 것이 사실입니다. 아니, 저부터 그렇게 생각해 왔던 것이 사실입니다.

어떤 회사에서 블럭체인을 이용한 뭔가를 한다면, 그리고 그 회사가 토큰이나 코인을 발행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것은 저의 고려대상이 아니었죠. 그리고, 그 회사에 투자할 방법도 없으니 뭘 어떻게 해야할 것인지도 알지 못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단적으로 R3라는 회사만 해도 그렇습니다. 세계의 많은 은행들과 심지어 우리나라의 은행들도 참여하는 블럭체인 프로젝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가 뭘 어쩌자는 것인지에 대해서 저는 판단조차 할 수 없었으니까요. 그냥, 블럭체인 프로젝트를 이용한 뭔가를 하는 것이고, 이 블럭체인 프로젝트는 이더리움에 기반한 것이구나... 정도로만 생각할 뿐 그 이상 뭘 기대할 수 있는지, 내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볼 수 있는지 아무런 감도 잡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저의 생각에 반대하셔도 좋습니다만) 암호화폐 자체에 투자해서 돈을 버는 것은 결코 나쁜 일이 아닙니다. 어쨋거나 투자금 이상의 돈을 거두어 들인다는 것은 투자에 있어서는 절대 '선'이지 '악'이 아닙니다.

그러나, 들고 있는 이 코인이 정말 쓰일지 감도 못잡는 것은 사실상 그 코인을 발행한 애들이 그들의 블럭체인을 어떻게 활용할지, 어떻게 마케팅할지, 아니면 그냥 놔두고 떨어지는 감을 기다리는 것인지 그 누구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일례를 들어보죠. Mona coin이요. 아마도 또 한번의 광풍이 불어오면 이 코인은 어떻게든 가격이 오르긴 할 것입니다만, 이들이 어떤 서비스를 기업들에게 제공해서 그 기업이 열심히 활용하고 그 활용에 따라 회사의 가치가 오르고 코인의 활용도가 높아질까요? 일본에서 물건을 사는데 이용된다, 애니와 관련된 제품을 구입하는데 이용된다, 서로 돈을 주고 받는 것에 이용된다... 주장은 많이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코인을 기업의 입장에서 보도록 하죠. 기업이 이 모나코인의 네트웍을 왜 이용해야하죠?

기업의 참여가 없이는 네트웍은 현재상황에서는 활성화되기 어렵습니다. 말대로 마이크로 페이먼트나 P2P를 이용한 친구간의 돈을 주고 받는 것에 사용될 것이라면, 이젠 그런 코인들은 널리고 널렸습니다. 그런데, 현재 비자나 마스터카드가 결제시스템을 거의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비자 만큼의 활용도로 높아질까요? 그게 아니라면, 비자라는 회사가 모나코인의 네트웍을 이용한다는 말이 나오긴 했나요? 비자가 아닌 그냥 은행만 해도 그렇습니다. 은행이 모나코인이라는 일본의 코인을 보면서 이들의 네트웍이 상당하니 이용해야할 것이라는 말을 하던가요?

기업들이 노리는 것은 암호화폐가 아닌 그 네트웍입니다. 그리고 이 네트웍 활성화를 위한 기업의 참여가 없다면 해당 네트웍은 '팔리지 않습니다.' IBM이라는 회사가 XLM이라는 코인의 가치가 높아져라 높아져라 하면서 스텔라의 네트웍을 이용하겠다고 참여했나요? JP Morgan Chase라는 곳이 이더리움이라는 코인의 가치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하면서 이더리움 네트웍을 이용했나요? 삼성이라는 회사가 블럭체인 메인 넷을 개발하면서 이더리움의 가치가 오를 것을 상상하면서 만들겠다고 했나요?

기업이 노리는 것은 암호화폐 자체가 아닌 그 네트웍과 그 기술입니다. 그리고 다시 말해보지만, 블럭체인산업은 기업의 활용없이는 성공하기 어렵습니다. 사토시의 경전을 달달 외워서 말한다고 한들, 현실은 그렇게 돌아가지 않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생각을 해야할 점은 이렇다고 봅니다. 코인....? 코인에 투자하면서 그 가치가 오를 것이라고 보는 것은 단기적인 접근 방법일 것입니다. 하지만, 그 네트웍을 형성하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그 차체를 제공하는 이들을 중심으로 놓고 본다면 오히려 더 나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듭니다.

두번째, 스마트 계약에 관한 것입니다.

스마트 계약이 무엇인지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이라면 웬만큼은 다 아실 것입니다.

가장 쉬운 버전으로 스마트 계약의 예를 든다면 저는 자동판매기를 제시하고 싶습니다. 밀크커피 한잔에 500원이라고 적혀 있는 자동판매기를 생각해 보죠. 돈을 기계가 먹지 않는 한, 그리고 내가 원한 밀크커피가 아닌 블랙커피가 나오지 않는 한, 500원이라는 돈을 넣고 버튼을 꾹 누르면 기계는 반드시 밀크커피를 내놓습니다. 그리고 이런 작용은 정상적으로 자동판매기가 보수유지되는 한 반복적으로, 끊임 없이 계속 됩니다.

한잔에 500원 --- 광고, 돈 500원을 넣는 행위인 지불행위, 그리고 그 댓가에 대한 커피를 내놓는 이행행위...이렇게 봐도 좋고, 더 세분화 한다고 해서 달라질 것도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항상 정해진 행위를 하면 확실한 결과를 반복적으로 내놓는다는 점이고, 이것을 스마트 계약에서 이용할 때 비용이나 효과에 있어서 더 효율적이라는 것은 이제 많은 곳에서 인정하고 있다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 스마트 계약은 프로그램 언어로 바뀌어서 활용이 되죠. 그리고 일정 산업에서 표준적으로 계속 반복해서 사용되는 스마트 계약의 프로그램언어는 하나의 블럭을 형성해서 같은 산업에서는 그 프로그램 자체의 첨가나 삭제등의 변경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고, 아니면 또 다른 스마트 계약의 일부로 이용될 수도 있습니다. 한번 만들어진 스마트 계약의 활용도는 거의 무제한이라고 봐도 될 정도 입니다.

그런데...

이 스마트 계약에는 여전히 단점이 많이 있습니다. 오라클이라는 존재가 중요하고, 오라클을 단순한 데이터 판단을 하는 컴퓨터에 맡기는 것은 여전히 위험하여 사람이 개입해야할 가능성이 높고, 계약서 마지막장에 서명을 해서 완전히 확정지은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계속 바뀌어야 하는 경우 스마트 계약을 강제로 이행시키기 어려우며, 무엇보다도 블럭체인이라는 것을 이용하는 한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되어 비밀유지라는 것이 어렵습니다.

아 여기에서, 프로그램언어가 계약서가 될 수 있냐는 생각을 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그런 분들에게 말씀드리죠. 될 수 있습니다. 1890년대 미국의 한 사건중에 전보를 이용하여 암호로 상품명이나 그 수량을 전달하고 그 암호를 해석하여 물건을 제공했던 당사자들이 있었는데, 법원은 전보에 적힌 암호라 하더라도 당사자들이 그 전보를 계약으로 할 것을 의도하고 서로 거래했다면, 계약서가 자연 언어로 적혀있던, 암호문자이건 관계없다는 판결이 있으니까, 이 사건에 비추어 볼 때, 프로그램언어도 계약서가 될 수 있다는 점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자.... 그럼, 여기에서...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려는 사람들은 도대체 누구일까요? 나와 옆동네 사는 친구간에 스마트 계약을 맺을까요? 5만원빵으로 해서 서로 주고 받는 것을 확정하기 위해 스마트 계약을 이용할까요? 아니면, 내가 단 열번의 반복된 거래를 하기 위해 스마트 계약을 위한 프로그래밍을 할까요? 아니면, 마약거래를 위해 은밀한 거래를 하려는 사람이 스마트 계약을 작성할까요?

그럼 현재 스마트 계약을 이용할 주 고객층이 누구냐는 것입니다. 즉, 그 스마트 계약을 만들기 위해 프로그래밍을 하거나 기존의 프로그래밍 된것을 차용하려는 사람은 단 한두번의 거래에서 모든 것을 끝내는 동네 아저씨는 절대 아니고, 기업대 기업 또는 기업대 개개인이 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여기에서 앞서 말한 블럭체인에 더 주안점을 두고 있는 기업의 모습과 스마트 계약의 활용은 서로 교집합을 이루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또한 말하는 기업이란 대기업만 말하는 것은 아니죠. 최소한 상인과 법인의 자격을 갖춘 주체라면 누구라도 이 스마트 계약을 활용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스마트 계약의 실생활 활용도는 엄청나게 높아지겠죠. 그리고 미래에는 심지어 일반인들 간의 스마트 계약이 보편화 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손으로 계약서를 쓰고 그 계약 내용중에 금전이 오가거나 금전과 상품이 오가는 그런 계약이라면 단순히 기성품과 같은 계약요건블럭 (추후에 설명하겠습니다)을 담아서 그것을 그대로 이용하여 계약서를 만드는 것도 어려운 일은 아닐 것입니다.

게다가, 계약서의 어려운 문구나 내용을 놓고 말장난 할 일도 사라지겠죠. 0과 1로 진행되는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할테니 '.... 할 수도 있다'라거나 '.... 일지도 모른다'는 식의 애매한 표현은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계약서 자체가 명확하고 애매한 부분을 없애버릴 수 있는 정도에 다다를 수도 있겠죠. 그럼, 인터넷에서 기성품과 같은 계약서나 계약서에 담겨야 하는 부분을 각각의 블럭으로 만들어서 계약서에 순서대로 끼워 넣고 이름, 날짜, 가격, 상품과 그 수량 정도만을 수정할 수 있는 그런 것도 가능할 것입니다.

이런 블럭식의 기성품 계약서가 문제가 없다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이용될 계약서의 폼이나 틀이 있다면 이것을 이용하지 말아야 할 이유도 없겠죠. 굳이 변호사를 불러다가 계약서 내용을 확인시키고 설명해달라고 하거나 계약서를 작성해달라고 하면서 몇십만원에서 몇백만원의 돈을 지불하지 않아도 됩니다.

계약서가 단지 컴퓨터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것만으로는 그 역할을 다 할 수 없으므로 당연히 블럭체인이 움직여줘야 합니다. 그리고 서로 계약서가 어디 있는지, 사라졌는지 소멸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또는 복사본이니 아니면 위조의 문제를 다투기 위해 서로 말싸움할 일도 줄어들 것 같습니다.

그럼....

이때, 암호화폐 자체는 어떻게 쓰일까요? 그 계약서를 블럭체인에 올리기 위해, 전달하기 위해, 계약 내용이 이행되어가는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대금을 지불하기 위해...등등의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겠죠.

하지만, 블럭체인 자체가 활용되지 않는다면, 그렇다면 암호화폐나 토큰의 활용이 뒤따를까요?

지금까지 우리가 봐왔던 것이 암호화폐/토큰이 우선이고 블럭체인이 부차적인 것이다라는 생각을 해왔다면, 이제는 반대로 블럭체인이 우선이고 그에 따른 암호화폐/토큰은 부차적인 것이라고 그 앞뒤가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실, 블럭체인의 활용은 제가 보기엔 필수이고 필연입니다.

아주 작은 이유로 제가 생각하는 것은 물리적인 한계입니다. 아무리 클라우드 서비스가 잘된다 하더라도 그 데이터를 보관하는 것은 중앙시스템이고, 중앙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해줘야 하며 그 용량과 그에 따른 비용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그 중앙시스템의 오류발생시 클라우드는 정말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블럭체인을 통해서 보관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중앙시스템화된 곳보다 월등히 많을 것이기에 경제적인 면을 고려한다 하더라도 기업들이 블럭체인을 이용하지 않을 이유는 없습니다.

게다가, 사회가 점점 더 발전할 수록 암호를 이용한 기술은 점점 더 발전할 것이고 이 기술을 이용하여 경제를 흐르게 만들 수 있는 것은 현재 나온 것으로는 블럭체인입니다.

그럼 다시....

이 블럭체인과 암호화폐는 일반인들이 비트코인 도그마의 내용처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될까요?

저의 생각은 일반인들간에 국가로부터의 경제적 독립, 세계화폐, 돈을 가진자들의 회포로부터의 피난 등등... 온갖 미사어구를 이용한 이상론의 완전한 실현가능성이 없습니다. 아주 일부, 마치 금과같은 효과는 낼 수 있겠죠. 그러나, 그 이상의 것을 바라기엔 너무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보여집니다.

그럼,

아무리 암호화폐가 없는 블럭체인은 진정한 분산화가 아니라고 주장한다고 한들, 또는 중앙화된 암호화폐는 진정한 암호화폐가 아니라고 주장한들, 그게 무슨 소용이랍니까? 기업이 체택해주지 않고, 기업이 그것을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라는 '자비'를 베풀어주지 않는한 블럭체인이고 암호화폐고 그 무엇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어쩔 수 없이 일반인들은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혜택을 받으면서 그것에 대한 댓가를 지불하는데 익숙해져 있지 기술적으로 문외안인 사람들이 나서서 뭔가를 계몽하는 그런 일은 쉽게 오지 않을 것 같습니다. 돈이라는 가치를 최고로 여기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볼 때, 일반인들에 의한 혁명적인 움직임은 기대하지 않습니다. 단지,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쫒아갈 뿐이죠. 아마 나라가 망한다는 말이 정부가 망한다는 말보다 기업이 망한다는 말로 들릴 수 있을 때가 올 지도 모르겠네요.

그래서,

어쩌자는 것이냐....

현실세계에서 많이 활용되는 블럭체인 네트웍을 제공하는 쪽으로 기울어져 가겠죠.

일단, 비트코인은 비트코인 네트웍을 기업들이 현실적으로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비트코인 블럭체인 메인넷이 어떻게 평가될지 갈릴 것 같습니다. 그래서 말대로 그냥 store value만을 갖고 있는 그런 블럭체인이 될 것인지, 아니면 이더리움과 같이 기업들이 많이 활용하는 그런 블럭체인이 될지에 따라 그 미래가 결정되겠죠.

한마디로, 암호화폐가 아닌 그 네트웍에 좀더 관심을 갖아야 할 때가 아닌가 합니다.

물론, 저만의 생각입니다.

그리고.... 점점 그렇게 생각이 흘러가네요.

자...

긴글 두서없이 썼는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ort:  

삼성이 이번에 이더리움 지갑을 탑재했다는 데...
이런 쓰임새라면 대중성이 크게 확장되나요?

사실, 대중성의 문제는 두번째 단계일 것 같습니다. 항상 새로운 기술이 등장했을 때의 분위기를 보면, 처음에는 관련 기술을 이용한 팔아먹기가 먼저 떠오르죠. 닷컴이 그런 것 같습니다. 그리고 팔아먹기가 끝나면 주축이 되는 산업이 떠오르고, 그리고 첫번째 단계와 두번째 단계에서 살아남은 기업이 어느 정도 쭉... 영업을 계속하는 것 같습니다. 구글이 그랬고, 아마존이 그러했으며, 심지어 시스코라는 회사도 그랬습니다. 여기에서 대중성의 문제는 두번째 단계를 통해 점차 커져가고, 세번째 단계에 이르러서는 그냥 그 산업이 생활의 일부가 되어버리는 것 같더군요.

이런 것을 봤을 때, 첫번째 단계 (암호화폐 팔아먹기)는 끝나가는 것 같고, 그 주축이 되는 블럭체인이 떠오르는 것 같습니다. 이 블럭체인 산업이 자리를 잡아 갈 때, 사람들은 뭔가 인식을 하면서 그 산업을 쫒아가지만, 세번째 단계가 되면, 그냥 블럭체인이라는 것이 생활의 일부가 되어버리겠죠. 그런 것을 상상해 보면, 삼성이 이더리움 지갑을 탑재한다 하지 않는다는 부차적인 일이라 생각되지만, 삼성이 본격적으로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한 네트웍 개발에 들어간다는 것은 두번째 단계의 시작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앞으로 정말 어떤 제품(이더리움, ADA, TRX, XLM 등)을 기반으로 한 블럭체인 네트웍이 사용될 것인지에 따라 코인의 생사여탈권은 결정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곰돌이가 @kimkwanghwa님의 소중한 댓글에 $0.004을 보팅해서 $0.019을 살려드리고 가요. 곰돌이가 지금까지 총 4335번 $49.660을 보팅해서 $54.728을 구했습니다. @gomdory 곰도뤼~

님의 통찰에 감탄해요.

jjangjjangman 서비스는 중단되었네요.

Posted using Partiko Android

크.. 오랜만에 찾아뵙네요..ㅎ 좋은글 퍼가도록하겠습니다. 앞으로 자주 뵈었으면 좋겠어요~

뒤늦게 봤습니다. 혜안이 담긴 글 잘 읽었습니다.